회복탄력성 신장 프로그램...
운영 담당자 역량 강화 연수
회복탄력성 신장 프로그램...
복지코리아 | 편집부
운영 담당자 역량 강화 연수
서울특별시교육청(교육감 조희연)은 10월 30일(목) 오후 2시 30분, 서울특별시교육연수원 우면관에서 교육복지특별지원학교(초·중․고등학교)의 교육복지 업무담당교사 353명, 지역사회교육전문가 294명, 교육지원청의 교육복지 업무담당자 및 프로제트조정자 32명, 초·중등교육지원과 업무담당 장학사 22명 등 700여 명을 대상으로「회복탄력성 신장 프로그램 운영 역량 강화 연수」를 실시한다.
※ 회복탄력성이란?
‘역경을 극복하는 힘’을 뜻한다. 최근 들어 부각되고 있는 긍정심리학에서 강조하고 있는 개념으로서, 교육소외 학생들이 어려운 환경에서도 제대로 성장해 나가도록 하는 원동력이 되며, 자기동기력, 자기조절력, 대인관계력을 구성 요소로 한다.
사회경제적 수준이 낮고 소외계층 가정의 학생일수록 학교에서 낮은 학업 성취와 학교 부적응으로 자주 실패를 경험하게 되어 학업 중단으로 이어질 가능성이 높다. 회복탄력성 신장 프로그램은 이들이 자존감을 기르고 행복한 삶을 실현해 갈 수 있는 토대를 마련해 줌으로써 교육복지사업의 실효성을 높일 수 있다.
이 연수는 서울특별시교육청 교육복지특별지원사업의 중점 과제인 “교육소외 학생의 회복탄력성 신장 프로그램 개발․운영”의 일환으로 제작된「2014 회복탄력성 신장 프로그램 모형」자료집을 교육복지특별지원학교(초·중․고등학교) 353교에 배부하고, 회복탄력성 신장 프로그램의 효과적 운영 방안과 관련하여 학교 현장을 지원하기 위해 마련되었다.
「회복탄력성 신장 프로그램 모형」은 2013년도에 6종(중학교용 3개, 고등학교용 3개)을 개발․보급한 성과를 바탕으로, 이번에 9종(초등학교용 2개, 중학교용 4개, 고등학교용 3개)을 추가 개발․보급하게 된 것이다.
이번 연수에서는 교육복지특별지원학교에서의 회복탄력성 신장 프로그램 운영 역량을 강화하기 위해,“회복탄력성 신장과 그릿(GRIT)의 교육적 의미”에 대한 연세대학교 김주환 교수의 특강과 함께 초·중․고등학생을 대상으로 학교에서 운영할 수 있는「2014 회복탄력성 신장 프로그램 모형 및 운영 사례」가 소개된다.
이번 연수를 통해 학교에서 학생들의 회복탄력성을 신장시키는 것이 왜 중요하고 어떻게 해야 하는가에 대한 구성원들의 인식을 새롭게 함으로써 교육복지사업의 질적 발전은 물론 ‘모두가 행복한 혁신미래교육’ 실현을 위한 주춧돌을 놓는 계기가 될 것이다.
편집부 FM교육방송 편집부 fmebsnews@fmebs.com
<저작권자 © 복지코리아,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