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친구사랑 주간> 19~30일

친구 인권 존중 및 학교폭력 예방

[ 기사위치 뉴스 ]
글자크기 +
글자크기 -

<친구사랑 주간> 19~30일

복지코리아 | 편집부

페이스북 트위터 구글플러스 블로그 카카오스토리


친구 인권 존중 및 학교폭력 예방


<친구사랑 주간> 19~30일

친구 인권 존중 및 학교폭력 예방

 도내 초중고 학생들이 친구들에게 마음을 전한다. 서로 공감하고 이해하며 배려하고 존중하는 시간을 갖는다. 

 경기도교육청(교육감 김상곤)19~30일 2주일 동안 <친구사랑 주간>을 운영한다. 

 이번 <친구사랑 주간>은 친구의 인권을 존중하고, 함께 성장하는 배움과 나눔의 친구사랑 문화를 정착하며, 학교폭력을 예방하기 위해 마련되었다. 도내 모든 초중고등학교는 <친구사랑 주간>을 지정, 다양한 활동을 전개한다. 

 학교는 학사일정을 고려하여 1주일을 선택하며, 학생자치회의 의견을 수렴하면서 준비한다. 특히, 장애 학생이나 어려운 환경의 학생이 수치심을 느끼거나, 인권침해 소지가 없도록 유의한다. 

 학교는 도교육청의 예시 프로그램을 참고하여, 학교 특성과 실정에 맞게 프로그램을 정하여 진행한다. 예시 프로그램은 친구사랑 우체통, 친구야 고마워! 미안해!, 릴레이 친구사랑, 친구를 위한 1일 투자, 고운 친구 고운 언어 등이다.
※ [붙임] 예시 프로그램

 학교는 <친구사랑 주간>과 더불어, ‘친구사랑의 날’*을 지정하여 다채로운 교육활동으로 친구의 의미를 뒤돌아보게 할 수 있다.
* 친구사랑의 날 : 4월 2일(친구사이), 7월 9일(친한 친구), 9월 4일(친구사랑), 11월 11일(친구와 함께)

 이번 <친구사랑 주간>에 대해 경기도교육청 학생학부모지원과 관계자는 “우리 학생들에게 친구란 과연 어떤 존재인지 마음으로 느끼게 하자는 취지”라며,“우리 교육이 입시위주의 치열한 경쟁속에서 친구를 이겨야 하거나 괴롭혀도 되는 존재로 보게 만들지 않았는지 반성할 때”라고 말했다. 
 
 관계자는 그리고 “학생과 학생이, 학생과 교사가 서로 공감하고 배려하면서 소통하는 학교문화를 만들어야, 우리 교육은 미래를 꿈꿀 수 있다”고 밝혔다. 

 경기도교육청은 오는 9월 10일~28일에도 2학기 <친구사랑 주간>을 운영할 예정이다.

<친구사랑 주간> 예시 프로그램

프로그램

내 용

친구사랑 우체통

친구에게 우정을 다지는 내용이나, 화해의 내용이 담긴 편지를 써서 ‘친구사랑 우체통’을 통해 전달

굿바이 학교폭력

- 학급규칙 만들기 - 학교폭력에 대한 의사표현 훈련

- 학급단위 학교폭력 토론회 실시

친구야

고마워! 미안해!

학교방송시스템을 이용하여 친구에게 공개 칭찬, 사과 영상물 제작·방영

천사표 내 친구

친구의 장점을 찾아 홍보자료로 제작하여 발표

- 내 친구 캐릭터 그리기/전시 - 친구자랑 광고 만들기/전시

- 시, 수필 쓰기/교내방송을 통한 낭독

- UCC 제작하기/학교 홈페이지 탑재

릴레이 친구사랑

학급별로 장애가 있거나 고민이 있는 친구를 학급학생 모두가 릴레이로 도움을 주는 활동

- ‘친구 사랑 주간’에 도움을 줄 학생 선정

- 학급 구성원이 각자 도움을 줄 구체적인 방법 결정

친구사랑

마인드 갖기

학급별로 친구사랑과 관련한 주제로 발표회 또는 토론회 실시

- 발표 및 토론주제는 학급의 상황이나 특성을 고려하여 결정

예) 좋은 친구가 되기 위한 조건, 나는 이런 친구가 좋다 등

친구를 위한

1일 투자

친구를 위한 1일 선행 실천

- 개인별로 선행을 베풀 친구를 정하고, 실천할 내용 결정

- 친구를 위한 1일 투자 기록표를 만들어 담임교사에게 제출

- 실천 후 소감 발표

친구사랑

부모사랑

학부모를 학교로 초청하여 친구의 부모들과 함께 동참하는 활동

- 부모님들과 게임 또는 운동하기

- 부모님과 함께 요리하기(4~6인 1개조)

- 이야기 나눔의 시간 갖기

친구와 함께

- 친구와 함께 테마 사진첩 만들기

- 함께 봉사활동 계획 세우고 실천하기

고운친구

고운언어

- 친구 간 고운 말 쓰기 약속 - 칭찬 일기, 칭찬 댓글

- 친구 기 살려주는 좋은 별명 지어주기




편집부  FM교육방송 편집부 fmebsnews@fmebs.com

<저작권자 © 복지코리아,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