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교폭력, 학생의 눈으로 바라보다

학교폭력, 학생의 눈으로 바라보다

[ 기사위치 뉴스 ]
글자크기 +
글자크기 -

학교폭력, 학생의 눈으로 바라보다

복지코리아 | 편집부

페이스북 트위터 구글플러스 블로그 카카오스토리


학교폭력, 학생의 눈으로 바라보다

「학교폭력, 학생의 눈으로 바라보다」

- 학생들이 스스로 의견을 모으고 해법을 찾아가도록 지원 -

 서울특별시교육청(교육감 곽노현)은 학생들의 눈높이에서 학교폭력 해법을 모색하기 위해 서울교육학생참여위원회를 소집하여 학생들의 목소리를 직접 듣기 위한 대화의 시간을 갖는다.
 
 일시 : 2012. 2. 2(목) 15:00
 
장소 : 서울시교육청 906호 회의실

 곽 교육감은 최근 업무보고를 받는 자리에서 학교폭력에 대한 전문가가 학생들임에도 학교폭력 대책을 마련하는 과정에서 학생들의 목소리가 거의 들리지 않음을 지적하면서 학생들을 직접 만나 의견을 듣겠다고 밝힌 바 있다.

 본 행사에 앞서 10년 이상 토론연극을 진행해 온 극단 「해(解)」가 학교폭력을 주제로 “양들의 침묵”이라는 연극을 20분 정도 공연할 예정이다.

 서울교육학생참여위원회는 교육 주체의 중요한 일부인 학생들의 다양한 목소리를 직접 듣기 위해 중학생 15명과 고등학생 20명 등 총 35명으로 지난 해 구성되었으며, 그 동안 4번의 례회의와 한 차례의 ‘교육감과의 대화’를 갖는 등 활발한 활동을 하고 있다.

 교육청은 이번 행사를 계기로 학생 자치활동이 활성화되어 학교폭력 해결에 학생들이 적극 참여함으로써 새 학년도터는 폭력의 늪에 빠져 고통 받는 학생이 한 사람도 발생하지 않기를 기대하고 있다.

제5차 서울교육학생참여위원회 개최 계획

 개요

 일시 : 2012. 2. 2(목) 15:00~17:00

 장소 : 서울특별시교육청 904호

 참석 : 학생참여위원 35명(중 15명, 고 20명)

             교육감, 평생진로교육국장, 책임교육과장, 담당장학관(사)

 안건 : 학교폭력 원인과 예방 대책 관련 교육감과의 대화

 당일 일정

시간

내용

비고

1

15:00~15:20

식전 행사 [연극 공연]

2

15:20~15:30

교육감 인사말씀

3

15:30~16:40

교육감과의 대화

- 학교폭력의 원인과 대책에 대한 논의

고희윤

(위원장)

4

16:40~17:00

교육감 당부 말씀

- 서울학생 참여위원회의 역할과 학교폭력예방을 위한 학생들의 노력

 향후 추진 계획

 학교폭력 예방을 위한 학생자치활동 집중 운영

- 기간 : 2012. 2. 3(금)~2012. 2. 17(금)

- 주제 : “학교 폭력 예방을 위한 학생자치활동 활성화” 등

<참고 자료>

토론연극 <양들의 침묵>

주최 : 억압받는 사람들의 연극공간 ‘해’ (www.hae.or.kr)

연출 : 김현정(한양대학교 연극영화과 겸임교수)

출연 : 김경선, 박재연, 송진우, 이정규, 김주현

줄거리

중3학생들인 진우, 정규, 주현... 그들이 겪는 학교의 일상은?

소위 일진이라고 불리는 친구들에게 이유 없이 금품을 갈취당하고 폭력, 협박에 시달리는 일이 일상이 되어버린 우리들의 교실. 그 피해자는 나의 가장 친한 친구가 될 수도, 또는 나 자신이 될 수도 있다.

이때, 누가 나를 도와줄 수 있을까? 친구? 부모님? 선생님?

그 어디에도 맘 편히 기댈 곳이 없는 친구들의 현실. 그 고민을 솔직하게 그려본다.

토론연극(forum theatre)은 브라질의 연극인 보알(Augusto Boal)이 체계화시킨 연극형식으로 국내에서는 극단 해가 10년 이상 작업을 해오고 있는 대표적인 공연형식이기도 하다.

토론연극은 연극무대에서 보여진 문제적인 상황을 관객과 함께 고민하는 공론의 ‘장’이며, ‘행동’을 통한 대안이 모색되는 실험실이 될 수 있다.

토론연극은 무대 위의 연극이 끝나면 비로소 시작되는 연극이라고 할 수 있다.

토론연극 <양들의 침묵>은 우리 아이들이 일상적으로 겪고 있는 학교의 폭력문제가 진지하게 고민되고 공감되며, 개선을 위한 다각적인 대안이 모색되는 ‘장’이 되고자 하는 작품이다.



편집부  FM 교육방송

<저작권자 © 복지코리아,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