믿고 맡길 수 있는 어린이집 많아진다

[ 기사위치 뉴스 ]
글자크기 +
글자크기 -

믿고 맡길 수 있는 어린이집 많아진다

복지코리아 | 편집부

페이스북 트위터 구글플러스 블로그 카카오스토리



4월부터 국공립어린이집 96개소, 공공형어린이집 700개소 확충

5월부터 공공형어린이집의 특별활동내역, 급식현황 등 정보 쉽게 확인 가능

보건복지부(장관 진영)믿고 맡길 수 있는 어린이집 확충 위하여 4월부터 국공립어린이집 96개소확충하고, 공공형어린이집* 700개소를 추가로 지정한다고 밝혔다.

공공형어린이집 : 우수한 민간․가정어린이집 등을 지정하여 운영비(월 96~870만원) 지원하고 해당 시설에서  부모 추가보육료 수납 제한, 보육교사 인건비를 상향(월 143만원 이상)하여 지급하는 등 강화된 운영기준을 적용하는 제도

이에 따라 전체 보육아동의 25%인 약 34만명의 영유아가 우수한 국공립(사회복지법인 포함)․공공형어린이집을 이용할 수 있게 된다.

<국공립어린이집 96개소 확충>

국공립 어린이집신축(민간매입 포함) 75개소를 포함하여 총 96개소를 확충계획이다.

총 96개소 : 일반 신축(민간매입 포함) 75개소, 장애아전문 어린이집 2개소, 공동주택 내 어린이집 리모델링을 통한 국공립 전환 19개소

신축지역은 서울시 40개소, 인천시 5개소, 경기 4개소, 기타 26개소

지자체 수요조사(1월)현지실사(2~3월)를 거쳐, 국공립 확충 필요성(취약지역 여부, 인근 국공립 설치여부 등)등이 높은 지역을 우선으로 선정하였다.

올해 확충 규모는 그간 확충 규모와 비교하여 크게 증가하였으며, 특히 전년도(’12년) 국공립어린이집 확충(34개소)약 3배 수준이다.

〈국공립 어린이집 확충현황 (‘10∼’13년)〉

구분

2010

2011

2012

2013

개소수

42

45

34

96

<공공형어린이집 700개소 추가 지정>

공공형어린이집도 4월부터 약 700개소 추가 지정하여 올해 총 1,500개소의 공공형어린이집을 운영할 계획이다.

현재 공공형어린이집은 778개소, 이용아동 수 4만3천명 (‘13.1월 기준)

각 시․도에서 선정 공고 후 공공형어린이집 지정

공공형어린이집평가인증 점수90점 이상인 민간시설 중 평가인증점수, 1급 보육교사 비율, 교사 임금 수준 등을 점수화하여 고득점 順으로 선정하며

보육료 부모부담분을 수납하지 않고, 보육교사 인건비향 지급(월 143만원 이상)토록 의무화하여 민간보육서비스의 공공성 제고 및 질 향상을 견인(牽引)하고 있다.

보육료 부모부담분 : 3~5세 영유아가 민간어린이집 이용시 발생하는 정부 지원단가(22만원) 外 보육료

공공형어린이집 지정 확대와 함께 5월부터는 부모공공형어린이집에 대한 정보를 보다 상세하게 알 수 있도록

평가인증 점수(영역별 점수 포함), 급식 상황(식단표, 급식재료 구매처, 구매주기), 특별활동 과목별 비용․ 실시 과목수․ 강사 인적사항 회계 내역 등 공공형어린이집 세부정보를 아이사랑 보육포털에 공개할 예정이다.

향후 복지부는 대통령 공약사항 이행을 위하여 ’14~’17년까지 매년 국공립 어린이집 150개소씩, 공공형어린이집 200개소씩 확하여 ‘13년부터 5년간(’13~‘17) 총 2,175(국공립 675개소, 공공형 1,500개소) 확충할 계획이며

매년 국공립 150개소(신축 50개소, 민간매입 100개소) 및 공공형 확충

국공립 675개소에는 장애아전문, 공동주택 리모델링을 통한 확충은 제외

이를 통하여 국공립(사회복지법인 포함)·공공형 어린이집 이용 아동 비율을 현행 20% 수준에서 ’17년까지 30% 수준으로 끌어올릴 예정이다.

복지부 관계자는 “국공립 어린이집은 농어촌, 도시내 저소득주민 밀집 주거지역 등을 중심으로 설치하여, 장애아, 다문화가정의 자녀 등을 우선적으로 보육하도록 할 계획”이라고 하면서 “국공립․공공형을 통해 믿고 맡길 수 있는 어린이집을 지속 확대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편집부  FM교육방송 편집부 fmebsnews@fmebs.com

<저작권자 © 복지코리아,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