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교 폭력, 무엇이 문제인가

사회적으로 문제되고 있는 학교 폭력, 진실과 거짓을 밝혀야 한다.

[ 기사위치 뉴스 ]
글자크기 +
글자크기 -

학교 폭력, 무엇이 문제인가

복지코리아 | lbm0506

페이스북 트위터 구글플러스 블로그 카카오스토리


사회적으로 문제되고 있는 학교 폭력, 진실과 거짓을 밝혀야 한다.

2012년 6월 2일 토요일에 Fm교육방송 학생기자라는 신분을 가지고 청주 성안길점 지나가는 시민분들께 학교폭력이란 주제를 가지고 인터뷰를 해 보았습니다. 요즘 가장 사회적으로 문제가 되고 있는 학교 폭력은 인간이 할 행동으로서 상상할 수 없는 폭력이 행해지는 곳이 종종 있다고 합니다. 일반 시민분들도 이 사태를 과연 아실까요? 뉴스나 기사 거리에서도 해결해야 할 문제로 인식하고 있지만, 아직까지 예방책에 따른 효과를 제대로 본 적도 없고, 그런 예방책과 같은 법적인 문제를 나라에서 해결하고 있는지 의문이 들 정도입니다.그 정도로 점점 악화만 되어가고 있는 학교 폭력 문제, 단순히 넘어 가기에는 혹여나 자기 자식도 당하지 않을까, 또는 피해를 주고있는 것이 아닐까? 반성하면서 살아가면 좋겠습니다. 단지 나한텐 안 일어나고 있다면서 무관심 하다면 대한민국의 학교 폭력 실태는 점점 더 문제화가 될 것입니다. 그런 아이들(피해자나 가해자 모두)이 나중에 사회에 나가면 과연 정상적인 생활을 할 수 있을지 의문이 들 정도인데요. 악은 순환되며, 선도 순환된다는 말이 있듯이 여러분의 적극적인 관심과 참여가 많이 필요합니다. 또한, 어느 지역의 중학생자살, 고등학생 자살이 최근에 많이 일어나고 있습니다. 황당한 것은 피해자의 가족, 친척 분들은 피해자가 이정도일 줄 몰랐다는 것입니다. 하지만 더 황당한 것은 가해자 가족 분들의 전혀 반성하지 못하는 태도인데요. 학교폭력, 과연 무엇이 문제이고, 어디서부터 예방책을 청소년 학생들에게 알려줘야 할까요? 이보미 기자외 2명의 기자분들이 10명의 시민분들을 대상으로 취재하였습니다.

썸네일 src썸네일 src썸네일 src썸네일 src

R : 요즘 문제가 되고 있는 학교 폭력의 실태에 대해 어느 정도 알고 계십니까?

c: 중학생이 제일 심한 거 같아요. 담배는 뭐 기본이고, 뉴스만 봐도 알죠.

R : 학교폭력을 예방하기 위해 무엇이 개선되었으면 좋겠다고 생각하시는지?

C : 말로만 교육, 교육이란 소리 좀 하지말고 진짜 교육이 뭔지 보여주란 거죠. 예방교육을 제대로 안하니까 문제인거고, 국민세금으로 cctv를 군데군데 더 설치해야 할 것 같고요. 법을 더 강화시켜야 된다고 생각해요. 가출 청소년 집단을 알아내서 따로 예방기관을 만들어서 사회에 도움이 되게 교육을 시키고 사회에 내 보내줘야 한다고 생각해요.

R :아, 그러니까 결론은 그런 친구들을 집단으로 만든 예방기관을 만들어서 사회에 나가기 전에 제대로 확실히 교육을 거쳐서 내보내면 사회에서 범죄, 살인 등 이런 문제가 일어나지 않을 거 같다는 말씀이신가요?

C: 네, 제 말이 그거에요. 그래도 혹시 모르니까 전자팔찌를 일정기간 채우고 죄가 없으면 안 채우는 법 같은 것도 있으면 되겠네요. 법이 확실해야 행동도 확실해 진다고 생각합니다.

R : 최근에 들은 학교폭력 사건에 대해서 아시는 것이 있나요?

C : 대구 모 중학생이 유서까지 쓰고 자살한 소식을 뉴스에서 들었어요. 너무 안타까워서 보면서 내내 눈물이 났고, 어디서부터 잘못된건지 정말 가슴이 아파요. 제가 근데 그 친구들을 위해 무엇을 할 수 있을지 생각을 해보지만, 답이 나오는 것은 없었어요..

R : 네, 아 좋은 취재에 참여해 주셔서 감사해요. 마지막으로 하고 싶은 말씀을 얘기해 주세요.

C : 정말 사람들이 역지사지의 자세로 관심을 가졌으면 좋겠고, 내 자식이라고 생각을 해보세요. 얼마나 짜증나고 울분이 터져요. 사람들이 아직 그런 의식이 부족한 것 같고, 어른들부터 태도를 바꿔야 될 것 같구요. 그냥 안타깝네요. 그리고, 꼭 이런 사건들이 앞으로 일어나지 않았으면 좋겠고, 예방책을 빨리 만들어서 좋은 사회 분위기가 되는 그런 시대가 얼른 왔으면 좋겠습니다.

위 내용은 참여해주신 10명의 시민분들 중 성의있으신 한 분의 의견을 따랐습니다. 거의 70%가 학교폭력은 위험하며, 얼른 대책을 세워야 한다는 의견으로 나왔고, 25%는 학교 폭력을 모르거나 관심없다로 나왔으며, 5%는 무응답으로 나왔습니다.

실제로 해결책 중 친구를 자살로 몬 죄로 가해자 청소년을 소년원에 6개월 감수해야한다는 의견 판결에 따라 그 학생이 소년원에 6개월행 한 적이 있었는데요. 가해자의 무개념으로 인한 행동으로 친구인 피해자의 목숨, 인생이 사라졌는데 단지 6개월으로 모두 해결 될 수 있을까요?

또, 최근에 전국적으로 조사한 질문 중 "일진이 있다" 에 50%이상 "있다"고 응답한 학교가 절반을 차지한 한편, 경기도가 제일 많았다고 합니다.



lbm0506  FM 교육방송

<저작권자 © 복지코리아,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