직장인 37.5% “스카우트 받은 경험 있다”
[ 기사위치 뉴스 ]
편집부 FM 교육방송
<저작권자 © 복지코리아,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글자크기 +
글자크기 -
직장인 37.5% “스카우트 받은 경험 있다”
복지코리아 | 편집부
직장인 37.5% “스카우트 받은 경험 있다”
- 스카우트 많이 받는 경로 “지인의 소개” 43.5%
- 내가 스카우트 받지 못한 이유 “인맥이 좁아서” 66.7%
- 스카우트 받아 봤으면 하는 기업 1위 ‘삼성’
직장인 5명중 2명 정도는 타사로부터 스카우트 제의를 받아본 경험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취업포털 잡코리아(www.jobkorea.co.kr)가 남녀직장인 778명을 대상으로 ‘스카우트 경험’에 대해 설문조사한 결과, 직장인 37.5%가 ‘스카우트를 받아 본 경험이 있다’고 답했다.
‘어떤 경로를 통해 스카우트를 받았느냐’는 질문에는 ‘지인의 소개로 받았다’고 답한 응답자가 43.5%로 가장 많았다. 다음으로 △업계 관계자로 부터 받았다(35.6%) △헤드헌터로부터 받아봤다(14.4%) △인사담당자로부터 직접 받았다(6.2%) △기타(0.3%) 순으로 조사됐다.
기업들은 직원을 스카우트하기 위해 높은 연봉을 가장 많이 제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기업에서 제시 했던 처우로는 무엇이 있느냐’(*복수응답)는 질문에 ‘높은 연봉’이 응답률 64.4%로 가장 높았다. 이어 △근무환경 개선(46.2%) △직급상승(33.9%) △스톡옵션(3.1%) △기타(1.4%) 순이었다.
무엇보다 스카우트를 받기 위해서는 경력이 중요할 것 같다. 실제, ‘스카우트를 받은 경험이 있다’고 답한 직장인 292명의 경력기간은 평균 7.3년으로 집계됐다.
또한, 스카우트를 받을 수 있었던 이유에 대해서도 ‘경력기간(54.1%)’을 가장 많이 꼽았다. 이어 △뛰어난 성과(33.6%) △관련전공자(27.1%) △좋은 인성(26.4%) △기업의 인지도(23.6%) △가까운 근무지(16.8%) △적당한 연봉수준(8.2%) △좋은 학벌(5.5%) △기타(2.4%) 순이었다.
반면, 스카우트를 받아본 경험이 없는 직장인 486명의 경우 ‘스카우트를 받지 못한 이유’에 대해서 ‘인맥이 좁다’가 응답률 66.7%로 가장 많았다. 이어 △경력이 부족하다(50.8%) △이직 할 마음이 없다(17.5%) △성과가 없다(11.7%) △학벌이 낮다(10.7%) △기타(0.4%) 순으로 나타났다.
한편, 직장인들이 가장 스카우트를 받아 보고 싶은 기업은 ‘삼성’인 것으로 나타났다. 직장인들에게 스카우트 받아 보고 싶은 기업이 있느냐고 질문한 결과(*개방형 질문), ‘삼성’이 전체 31.4% 비율로 1위를 차지했다. 다음으로 △현대(5.8%) △포스코(5.3%) △LG(2.3%) △SK · CJ(2.2%)가 상위 5위 안에 올랐다.
취업포털 잡코리아(www.jobkorea.co.kr)가 남녀직장인 778명을 대상으로 ‘스카우트 경험’에 대해 설문조사한 결과, 직장인 37.5%가 ‘스카우트를 받아 본 경험이 있다’고 답했다.
‘어떤 경로를 통해 스카우트를 받았느냐’는 질문에는 ‘지인의 소개로 받았다’고 답한 응답자가 43.5%로 가장 많았다. 다음으로 △업계 관계자로 부터 받았다(35.6%) △헤드헌터로부터 받아봤다(14.4%) △인사담당자로부터 직접 받았다(6.2%) △기타(0.3%) 순으로 조사됐다.
기업들은 직원을 스카우트하기 위해 높은 연봉을 가장 많이 제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기업에서 제시 했던 처우로는 무엇이 있느냐’(*복수응답)는 질문에 ‘높은 연봉’이 응답률 64.4%로 가장 높았다. 이어 △근무환경 개선(46.2%) △직급상승(33.9%) △스톡옵션(3.1%) △기타(1.4%) 순이었다.
무엇보다 스카우트를 받기 위해서는 경력이 중요할 것 같다. 실제, ‘스카우트를 받은 경험이 있다’고 답한 직장인 292명의 경력기간은 평균 7.3년으로 집계됐다.
또한, 스카우트를 받을 수 있었던 이유에 대해서도 ‘경력기간(54.1%)’을 가장 많이 꼽았다. 이어 △뛰어난 성과(33.6%) △관련전공자(27.1%) △좋은 인성(26.4%) △기업의 인지도(23.6%) △가까운 근무지(16.8%) △적당한 연봉수준(8.2%) △좋은 학벌(5.5%) △기타(2.4%) 순이었다.
반면, 스카우트를 받아본 경험이 없는 직장인 486명의 경우 ‘스카우트를 받지 못한 이유’에 대해서 ‘인맥이 좁다’가 응답률 66.7%로 가장 많았다. 이어 △경력이 부족하다(50.8%) △이직 할 마음이 없다(17.5%) △성과가 없다(11.7%) △학벌이 낮다(10.7%) △기타(0.4%) 순으로 나타났다.
한편, 직장인들이 가장 스카우트를 받아 보고 싶은 기업은 ‘삼성’인 것으로 나타났다. 직장인들에게 스카우트 받아 보고 싶은 기업이 있느냐고 질문한 결과(*개방형 질문), ‘삼성’이 전체 31.4% 비율로 1위를 차지했다. 다음으로 △현대(5.8%) △포스코(5.3%) △LG(2.3%) △SK · CJ(2.2%)가 상위 5위 안에 올랐다.
편집부 FM 교육방송
<저작권자 © 복지코리아,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