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각장애학생도 수업을 듣고 질문도 하며, 스마트하게 공부해요!
청각장애학생도 수업을 듣고 질문도 하며, 스마트하게 공부해요!
청각장애학생도 수업을 듣고 질문도 하며, 스마트하게 공부해요!
복지코리아 | 편집부
청각장애학생도 수업을 듣고 질문도 하며, 스마트하게 공부해요!
청각장애학생도 수업을 듣고 질문도 하며, 스마트하게 공부해요!
장애학생 스마트교실 구축 추진
교육과학기술부(장관 이주호)는 장애 또는 건강의 문제로 학교에
다니기 어려운 건강장애학생과 순회교육학생을 대상으로 2011년부터 추진해 오던 장애학생 스마트러닝을 2012년에도 지원 대상 및 기관을 확대하여 추진한다.우선 2012년 4월, 서울의 국사봉중학교 특수학급에 청각장애학생 스마트교실 구축을 시작으로 장애 유형별 스마트교실 운영을 실시한다.
서울의 국사봉중학교 특수학급에 설치된 장애학생 스마트교실은 일반학교에 다니는 청각장애학생을 위하여 스마트기기를 제공하여 청각장애학생도 통합교육을 쉽게 받을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청각장애학생에게 지원되는 스마트기기는 교사의 수업과 친구와의 대화를 원격교육지원센터※를 통해 실시간 수화통역 또는 문자통역을 제공받고, 학생이 질문이나 대답을 스마트기기에 입력하면, 이를 스피커를 통해 교사나 친구에게 전달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 원격교육지원센터 : 국립특수교육원에 설치된 기구로 청각장애학생이 수업 장면을 스마트기기를 통해 센터에 전달하면, 센터의 수화통역사 또는 속기사가 실시간으로 수업 내용을 수화 혹은 텍스트로 장애학생의 스마트기기로 전송하는 역할 담당
이는 일반학교에서 의사소통의 장애로 학업 및 급우와의 교류에 어려움이 있는 청각장애학생의 교육불편을 해소하고 학습능력 향상에 도움을 주게 될 것으로 기대된다.
장애학생 스마트교실에는 스마트기기 뿐만 아니라 서책형교과서 등 기존 인쇄매체의 장점도 융합하여 인쇄물과 디지털콘텐츠를 함께 사용할 수 있도록 구축하였다.
교실에서 학생이 인쇄된 수업자료에 특수한 필기도구로 문제를 풀거나 기록한 내용이 교실의 모니터 또는 태블릿PC에 표시되어 교사나 급우와도 학습 정보를 공유할 수 있게 되며,
학생별 학습결과물의 누가기록이 가능하고 담임이 바뀌어도 누가기록분석을 통해 학습수준에 맞는 교육계획을 수립할 수 있게 된다.
장애학생 스마트러닝 지원 사업은 교육과학기술부의 「장애학생 스마트러닝 지원 계획(''11.7)」과 교과부, 삼성전자 및 SK텔레콤이 참여한 「장애학생 스마트러닝 지원을 위한 양해각서(''10.11)」에 따라 추진되어 온 사업으로, 2011년 12월 장애학생 스마트러닝 지원 플랫폼을 구축한 후, 장애학생 및 지원교사 등 1,000명을 대상으로 스마트기기 보급하여 서비스를 지원하고 있다.
앞으로 교육과학기술부는 장애극복을 위한 교육환경 구축을 위하여 장애학생 스마트교실 시범 운영 후, 지원 대상을 2,000명으로 확대할 예정이다.
편집부 FM교육방송 편집부(fmebsnews@fmebs.com)
<저작권자 © 복지코리아,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