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교육청‧광주교육청 입장표명에 대한 교과부 입장
서울교육청‧광주교육청 입장표명에 대한 교과부 입장
서울교육청‧광주교육청 입장표명에 대한 교과부 입장
복지코리아 | 편집부
서울교육청‧광주교육청 입장표명에 대한 교과부 입장
서울교육청‧광주교육청 입장표명에 대한 교과부 입장
초‧중등교육법 시행령 개정(학칙 기재사항 등) 관련
2012년 4월 17일 국무회의에서 의결된 「초·중등교육법 시행령」은 “학생의 두발‧복장 등 용모, 교육목적상 필요한 소지품 검사, 휴대전화 등 전자기기 사용에 관한 사항”을 학생, 학부모, 교원 등의 의견을 수렴하여 학칙으로 정하도록 하고 있다.
개정안의 핵심내용은 학생의 두발·복장 규정 등을 학칙으로 정하여 운영 하되, 그 구체적인 내용은 학교구성원의 의견을 수렴하여 학교 스스로 정하도록 함으로써 단위학교에 자율권을 부여하는 것이다.
그러나 서울·광주·경기 학생인권조례 중 일부 조항은 학교구성원이 합의하여 만들어야 할 학칙을 획일적으로 규제‧제한하고 있어, 시행령 개정안이 부여한 학교의 자율권을 침해하고 있다.
이러한 조항들은 시행령 개정(’12.4.20. 공포‧시행 예정)에 따라 상위법령 위반으로 실효되며, 학교에서는 실효된 조례 규정에 기속되지 않고 자율적으로 학칙을 제‧개정할 수 있다.
아울러, 서울시 학생인권조례에 대해서는 현재 대법원에서 무효확인소송이 진행 중이고,
서울시교육청의 “학생인권조례에 따른 학칙 개정지시 처분”의 효력이 정지된 상태이므로,
서울특별시 각급학교에서는 서울시 학생인권조례에 기속되지 않고 학칙을 제‧개정 할 수 있다.
※(1/27) 서울시교육청, 학칙개정지시 → (1/30) 교과부, 시정명령 → (2/15) 교과부, 학칙개정지시 정지처분 → (2/29) 서울시교육청, 대법원에 “정치처분 취소소송” 청구
편집부 FM 교육방송
<저작권자 © 복지코리아,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