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특별시학교보건진흥원, 「식품안전 분석실」개소

[ 기사위치 뉴스 ]
글자크기 +
글자크기 -

서울특별시학교보건진흥원, 「식품안전 분석실」개소

복지코리아 | 편집부

페이스북 트위터 구글플러스 블로그 카카오스토리




서울특별시교육청(교육감 문용린)은 안전하고 질 높은 학교급식 제공을 위하여 직속기관인 학교보건진흥원에 잔류농약 검증검사와 방사능 현장검사를 신설하고, 학교급식 미생물 검사를 확대하기 위하여 2014. 2. 20(목). 10:00. 학교보건진흥원 1층 현관 옥외에서 학부모와 교육청 급식관계자들을 모시고「식품안전 분석실」을 개소한다.

오늘 행사는 2014. 3월 개교를 앞두고, 학교급식 식재료 안전성 검사 강화를 위하여 새롭게 도입된 잔류농약 검사와 방사능 검사 등에 대한 시뮬레이션을 위하여 지역교육청에서는 아침 07:30부터 학교현장에 방문하여 시료채취 후 검사의뢰까지, 학교보건진흥원과 덕성여대에서는 시료접수, 검사 시연, 결과처리까지 검사에 대한 전 과정을 일목요연하게 점검하게 된다.

학교보건진흥원 및 11개 지역교육청은 금일 개소식을 시작으로 당일 검사결과 통보가 가능한 잔류농약 검증검사 연 8,498건, 잔류농약 정밀검사 연500건, 학교현장에 찾아가 급식조리 전에 검사하는 방사능 현장검사를 연 630건(교), 학교급식 식품접촉표면(칼, 도마, 식판) 미생물 검사를 1,215교(7,290건), HACCP시스템 적용 확인을 위한 검증검사를 122교(2,928건), 식중독균 검사 시료채취를 77교(1,386건) 총 20,732건을 연중 실시할 계획이다.

서울시교육감은 올해에는 그 어느 해보다 행복한 학교급식 실현을 위하여 맛있고, 질 좋은 학교급식 제공을 위하여 심혈을 기울이고 있다. 학교급식 식재료에 대한 생산, 제조, 유통 등에 대하여 정부에서 관리하고 있으나, 우리 아이들의 먹거리는 교육감이 지키겠다는 책임감으로 식재료 안전성 관리체계를 단계적으로 구축·시행하고 있다.

첫째, 식재료 안전성 검사기관인 국립농산물품질관리원 경기지원, 서울대학교, 덕성여자대학교 등과 MOU를 체결하여 권역별로 식재료 안전성 검사 공조체계를 구축하였으며,

둘째, 학교급식 식재료 안전성 강화를 위해 학교에서는 친환경, GAP, HACCP 등 인증제품을 사용하고,

1단계로 학교보건진흥원과 덕성여대에서는 신속하고 효율적으로 실시할 수 있는 잔류농약 검증검사를 연간 8,498여건 당일 검사 완료하여 부적합 시 서울대학교 또는 국립농산물품질관리원에 정밀검사 의뢰토록 하였으며,

2단계로 국립농산물품질관리원에 별도로 정밀검사 400여건 의뢰하여 농산물의 안전성을 확보할 계획이다.

더불어, 잔류농약 검증검사 판정기준를 양성기준 저해율 50%이상에서 26%이상으로 강화하여 정밀검사 의뢰건수를 높이겠다고 하였다.

서울시교육청의 올해 잔류농약 검사 목표량 8,998건으로 최근 3년간 검사물량 연 평균 544건 대비 무려 17배에 달해 농산물에 대한 안전성 검사가 더욱 강화되었음을 알 수 있다.

끝으로, 문용린 교육감은 농산물 안전성 검사 강화뿐만 아니라 기후변화에 대비하여 면역력이 약한 어린아이들의 식중독 예방을 위하여 HACCP 검증검사 및 식중독균 검사 등 학교급식 미생물 검사를 점차 확대하여 우리 학생들의 건강권 확보를 위해 더욱 노력할 것이라고 밝혔다.





편집부  FM교육방송 편집부 fmebsnews@fmebs.com

<저작권자 © 복지코리아,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