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린이 놀이시설, 1천 56개소 내년에 모두 해결

예산 250억원 투입, 지자체와 협력해

[ 기사위치 뉴스 ]
글자크기 +
글자크기 -

어린이 놀이시설, 1천 56개소 내년에 모두 해결

복지코리아 | 편집부

페이스북 트위터 구글플러스 블로그 카카오스토리


예산 250억원 투입, 지자체와 협력해


공립 유․초․특수학교의 놀이터와 놀이기구를 개선한다. 2008년 이전에 설치한 시설 전부다. 

경기도교육청(교육감 김상곤)은 자라나는 꿈나무의 건강한 성장을 도모하고 안전한 놀이시설 환경을 구축하기 위해, 지자체와 협력하여 2014년 250억 7천만원 소요되는 공립 유치원․초등학교․특수학교의 놀이시설 1천 56개소를 개선할 계획이다. 

유치원은 402개소, 초등학교는 652개소, 특수학교는 2개소다. 2008년 1월 이전에 설치한 곳 중에서 설치검사 불합격․부분합격 그리고 미검사 시설들이다. 어린이놀이시설 안전관리법은 2008년 1월 이전 설치 시설에 대해 2015년 1월까지 설치검사를 유예하고 있다. 

개선하는 시설은 미끄럼틀, 그네, 시소 등 놀이기구, 모래와 탄성바닥재 등 놀이터다. 지자체와의 분담 비율 등은 추후 협의할 예정이다.

도내 공립 유․초․특수학교의 어린이 놀이시설은 2천 194개소다. 올해 8월 현재까지 1천 595개소에 대해 설치검사를 시행했고, 892개소가 합격했다.

(단위 : 개소, 2013년 8월 1일 기준)

 

시설

설치검사

검사

합격

불합격

부분합격

미검사

전체

2,194

1,595

892

587

116

599

’08년 이전 설치

1,408

829

194

554

81

579

’08년 이후 설치

786

766

698

33

35

20


2008년 1월 이전에 설치한 곳은 1천 408개소로, 829개소를 설치검사하여 194개소가 합격하였다. 불합격․부분합격․미검사 시설 1천 214곳 중에서 23곳은 철거 또는 사용하지 않으며, 135곳은 개선 중이고, 1천 56곳은 내년에 개선할 계획이다.

한편, 사립 유․초․특수학교 및 학원의 어린이 놀이시설은 모두 901개소다. 428개소 대상의 설치검사에서 385개소가 합격했다.

경기도교육청 김현국 정책기획관은 “어린이 놀이시설이 안전상 문제가 있어, 2008년 안전행정부의 발의로 법이 제정되어 2015년 1월 26일까지 안전 설치검사를 받도록 하고 필요한 재원은 국가와 지자체가 확보하도록 하였다”며,

“그러나 법 제정후 지금까지 중앙정부에서 막대한 재원이 드는 사업을 아무 지원도 없이 수수방관하는 사이, 2015년 1월로 법 시행시기가 다가옴에 따라 교육청의 부담으로만 개선하여야 하는 실정”이라면서,

“불합격 시설과 미검사 시설에 대해 250억원을 들여 어린이 놀이시설을 개선함으로써 해묵은 문제를 모두 해결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편집부  FM교육방송 편집부 fmebsnews@fmebs.com

<저작권자 © 복지코리아,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